
2025년에는 최저임금 인상부터 예금보호 한도 확대까지, 많은 사람들이 받을 수 있는 다양한 혜택이 새롭게 시행됩니다. 이번 블로그에서는 우리 생활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13가지 정책 변화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1. 경제·금융 관련 정책 1) 최저시급 1만 원 시대 2025년 최저임금이 시간당 10,030원으로 인상되었습니다. 주 40시간 근무 기준 월 209만 6,270원을 받을 수 있어 경제적 안정에 기여할 것입니다. 2) 실업급여 인상 실업급여 하한액이 하루 64,192원으로 상향 조정되었습니다. 한 달 기준 192만 5,760원을 받을 수 있어 실직자들의 생활을 더욱 안정적으로 지원합니다. 3) 예금보호 한도 1억 원으로 상향 예금보호 한도가 기존 5천만 원에서 1억 원으로 인상됩니다. ..

최근 고용 불안과 은퇴 연령 증가로 인해 많은 시니어 근로자들이 실업급여에 대한 관심을 보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만 65세 이후의 실업급여는 일반적인 실업급여 조건과 다소 차이가 있으며, 자칫 잘못 이해하면 수급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고용보험법 제10조와 실업급여 관련 내용을 중심으로 만 65세 이후 근로자들이 꼭 알아야 할 사항을 정리해보겠습니다.1. 만 65세 이후 실업급여 제한 고용보험법 제10조에 따르면, 만 65세 이후에 새롭게 고용되거나 자영업을 시작한 근로자는 실업급여와 육아휴직급여의 적용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사례 분석: 하루 차이로 실업급여를 받지 못함상황: 만 65세 생일 당일에 고용 계약을 체결한 임 씨는 그 이전까지 실업급여를 받아왔으나, 생일 이후 계약으..

근로의 의사와 능력이 있을 것은 실업급여 수급 조건 중 하나로, 수급자가 실업 상태에서 적극적으로 구직 활동을 하고 있음을 증명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를 충족하기 위해 필요한 세부 요건과 증명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근로 의사란? ■ 근로를 할 의지: 실업 상태에서 취업을 희망하며, 구직활동을 지속적으로 할 의사가 있어야 함.■ 취업 준비 태도: 실질적인 구직활동을 통해 의사를 적극적으로 나타내야 함. 단순히 일자리를 구할 의사가 있다고 주장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며, 이를 행동으로 보여야 함.2. 근로 능력이란? ■ 근로 가능한 신체적·정신적 상태 근로를 수행할 수 있을 정도로 건강한 상태여야 함.질병이나 사고로 인해 근로 능력이 일시적으로 제한된 경우, 회복 후 근로 가능성을 증명해야 ..
고용보험법에 따른 실업급여 수급 요건 중 하나는 이직일 기준으로 18개월(=558일) 내에 고용보험 피보험 기간이 총 180일 이상이어야 한다는 조건입니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기준 기간: 이직일로부터 18개월 ■ 이직일: 근로자가 회사를 그만둔 날을 의미합니다.예를 들어, 퇴사일이 2024년 11월 29일이라면, 기준 기간은 그로부터 18개월 전인 2023년 5월 29일부터 시작됩니다. ■ 18개월 내: 퇴사일을 포함하여 거슬러 올라간 18개월 동안의 피보험 기간만 계산에 포함됩니다.피보험 기간의 산정: 180일 이상 ■ 피보험 기간: 고용보험에 가입된 상태에서 실제 근로한 날을 의미합니다. ■ 180일 계산 방법출근한 날만 포함되며, 휴직일이나 무급휴가일은 제외됩니다.주휴일(유급..

2025년 실업급여가 최저임금 인상과 물가 상승에 맞춰 인상됩니다. 시간당 8,024원, 하루 64,192원, 월 192만 5,760원의 실업급여 하한액이 책정되며, 실직자들의 경제적 안정성이 강화될 전망입니다. 실업급여 상한액은 동결되며, 형평성 문제 개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2025년 실업급여 금액 인상 배경과 이유를 알아 보겠습니다. 1. 실업급여란 무엇인가요? 실업급여는 근로 의사와 능력이 있지만 취업하지 못한 구직자의 생활을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구직 기간 동안 국가에서 일부 생계비를 제공하여 구직자가 경제적 부담을 덜고 재취업 활동에 전념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단, 실업급여는 구직 활동 요건을 충족한 사람에게만 지급됩니다. 실업 | 실업 급여 | 실업급여 계산기 | 고용보험👆️실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