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바이브 코딩"은 기술과 감성의 경계를 허무는 신조어로, 인간이 인공지능과 대화하며 원하는 결과물을 얻는 새로운 형태의 개발 방식을 의미합니다. 기존의 프로그래밍과 달리, 코딩 지식 없이도 아이디어만 설명하면 AI가 알아서 구현해주는 방식으로, 최근 오픈AI의 안드레이 카르파시가 이를 소개하며 급속히 확산되고 있습니다. SNS와 개발 커뮤니티에서는 실제로 몇 시간 만에 완성된 서비스 사례들도 공유되며 AI 코딩 패러다임의 대중화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1. 바이브 코딩 뜻
바이브 코딩은 기존의 프로그래머 중심 코딩 방식과 달리, 일반 사용자가 AI에게 자연어로 원하는 프로그램의 ‘느낌’이나 ‘기능’을 전달하면 AI가 이를 코드로 구현해주는 개발 방식을 말합니다. 일종의 감각 중심 개발, 즉 ‘느낌을 구현하는 코딩’이라는 의미로, 감성과 기술이 결합된 신개념 프로그래밍입니다.
뜻: AI에게 느낌과 기능을 말로 전달하면, 자동으로 코드를 생성해주는 새로운 개발 방식
유사 표현: 자연어 코딩, 노코드 개발, 생성형 코딩
관련 신조어: 생성형 AI, 텍스트 투 앱, AI 프로그래밍
2. 바이브 코딩 유래
"바이브 코딩"이라는 용어는 오픈AI 창립 멤버인 안드레이 카르파시가 처음 언급하며 알려졌습니다. 그는 기존의 코드 기반 개발이 아닌, 인간의 감성과 직관을 자연어로 표현하고, AI가 이를 자동으로 프로그래밍하는 시대가 도래했다고 강조했습니다. 이후 온라인 커뮤니티와 IT 스타트업 업계에서 빠르게 퍼지며 새로운 개발 트렌드로 자리잡게 되었습니다.
3. 바이브 코딩 예시
바이브 코딩은 복잡한 문법이나 로직 없이도, 원하는 분위기나 기능을 AI에게 설명하면 그것이 바로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 "사용자가 '잔잔한 음악이 흐르는 감성 일기장 앱'을 말하면, AI가 자동으로 앱을 구현"
† "‘한 줄 일기 입력창’과 ‘하늘색 배경’을 설명하자 AI가 바로 웹페이지 완성"
† "‘카페 느낌 나는 예약 시스템’을 요청하자 디자인과 기능을 포함해 AI가 전부 생성"
4. 바이브 코딩 한자 및 영어 표현
바이브 코딩은 아직 공식 한자어는 없지만, ‘느낌(感)’과 ‘구현(具現)’ 또는 ‘자연어 코딩’(自然語 Coding) 등으로 의미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영어 표현으로는 vibe coding, prompt-to-code, 또는 natural language programming이라는 용어가 쓰입니다.
한자 표현: 감구현(感具現), 자연어 코딩(自然語 Coding)
영어 표현: Vibe Coding, Prompt-to-Code, Natural Language Programming
바이브 코딩은 기술이 인간의 감성을 따라가는 흐름을 잘 보여주는 대표적인 신조어로, 앞으로 소프트웨어 개발뿐 아니라 콘텐츠 제작과 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로 확장될 가능성이 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