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재판 과정에서 증인은 사실에 입각한 증언을 해야 합니다. 하지만 누군가가 의도적으로 증인에게 거짓말을 하도록 지시하거나 강요한다면 이는 위증교사죄에 해당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위증교사의 의미, 관련 법조항, 그리고 위증죄와의 차이점을 쉽게 설명해보겠습니다.

     


    1. 위증교사란?

     

    위증교사란 타인에게 법정에서 허위 진술을 하도록 부추기거나 강요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즉, 직접 거짓 증언을 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을 이용하여 법정에서 거짓 증언을 하게 만드는 행위입니다.

     

    • 예시 1: A씨가 친구 B씨에게 "내가 사건 현장에 없었다고 법정에서 증언해줘"라고 부탁하는 경우
    • 예시 2: 회사 대표가 직원에게 "경쟁 회사가 불법 행위를 했다고 거짓 증언을 해라"라고 강요하는 경우
    • 예시 3: 변호사가 의뢰인에게 "이렇게 말하면 더 유리하니 거짓 증언을 하자"라고 설득하는 경우
    • 예시 4: 위증교사죄는 타인에게 법정에서 거짓 증언을 하도록 부추기거나 강요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이러한 행위는 형법 제152조에 따라 처벌되며, 위증을 교사한 자는 실제 위증을 한 자와 동일한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사례 요약: 한 사건에서 피고인 A씨는 개인적인 원한으로 인해 B씨에게 법정에서 특정인 C씨에게 불리한 거짓 증언을 하도록 교사하였습니다. B씨는 A씨의 지시에 따라 법정에서 허위 진술을 하였고, 이후 이 사실이 밝혀져 A씨는 모해위증교사죄로 기소되었습니다. 법원은 A씨가 C씨를 모해할 목적으로 B씨에게 위증을 교사한 점을 인정하여 유죄 판결을 내렸습니다.

    이 사례는 위증교사죄의 성립 요건과 그에 따른 법적 처벌을 보여줍니다. 위증교사죄는 공정한 사법 절차를 저해하는 중대한 범죄로 간주되며, 법원은 이러한 행위에 대해 엄격하게 처벌하고 있습니다.

     


    2. 위증교사죄의 법적 처벌

     

    우리나라 형법에서는 위증을 교사하는 행위도 처벌 대상이 됩니다. 형법 제152조에 따르면 위증을 하도록 지시한 사람도 직접 위증을 한 사람과 동일한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법조항 내용
    형법 제152조 1항 선서한 증인이 허위 진술을 하면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 원 이하의 벌금
    형법 제152조 2항 형사사건에서 피고인을 불리하게 만들기 위해 위증을 교사하면 10년 이하의 징역

     

    대한민국 형법 제152조 (위증, 모해위증) 원문

     

    제152조(위증, 모해위증)


    ① 법률에 의하여 선서한 증인이 허위의 진술을 한 때에는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1995. 12. 29.)

    ② 형사사건 또는 징계사건에 관하여 피고인, 피의자 또는 징계혐의자를 모해할 목적으로 전항의 죄를 범한 때에는 10년 이하의 징역에 처한다.

    ③ 제1항 및 제2항의 방법으로 진술을 하게 한 자도 각 해당 조항의 형과 동일한 형으로 처벌한다. (위증교사죄 적용)

    ④ 전 3항의 미수범은 처벌한다.


    이 조항은 법정에서 위증을 한 자뿐만 아니라, 위증을 교사한 자도 동일한 처벌을 받는다는 점을 명확히 하고 있습니다.



    3. 위증죄 VS 위증교사죄

     

    위증죄는 법정에서 직접 거짓 증언을 하는 행위이며, 위증교사죄는 타인에게 거짓 증언을 하도록 부추기는 행위입니다. 위증죄는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벌금형이 가능하며, 위증교사죄는 위증죄보다 더 무거운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구분 위증죄 위종교사죄
    정의 법정에서 거짓 증언을 하는 행위 타인에게 거짓 증언을 하도록 부추기는 행위
    주체 직접 거짓말을 한 증인 증인에게 거짓말을 하도록 한 사람
    처벌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벌금 위증죄보다 더 무거운 처벌 가능


    4. 마무리

     

    위증교사죄는 단순한 위증과 달리 배후에서 조종하는 사람도 동일한 처벌을 받는다는 점에서 더욱 엄격하게 다뤄집니다. 만약 법정에서 증언을 부탁받거나, 거짓 증언을 강요받는 상황이 있다면 이를 거부해야 하며, 법적인 조언을 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