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인터넷과 SNS의 발달로 새로운 신조어와 밈이 끊임없이 탄생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최근 한국에서 널리 사용되는 신조어 기레기의 기원과 의미, 그리고 유사한 해외 사례를 포함하여 사용 예시를 분석해 보겠습니다.

     


    1. 기레기: 기자와 쓰레기의 합성어

     

    기레기는 '기자'와 '쓰레기'를 합친 말로, 객관적인 보도를 하지 않고 특정 이해관계를 대변하는 기사나 왜곡된 보도를 하는 기자를 비꼬는 표현입니다. 특히 가짜뉴스나 악의적 편향 보도에 대한 비판에서 자주 등장합니다.

     

    • 기원: 2000년대 중반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사용되기 시작, 이후 언론 보도의 공정성 논란이 불거지며 대중적으로 확산
    • 유명 사례: 2014년 세월호 참사 당시 일부 언론의 부정확한 보도에 대해 '기레기'라는 단어가 대중적으로 쓰이기 시작함.
    • 사용 예: "또 가짜 뉴스야? 역시 기레기답네!"

    해외에서도 한국의 "기레기"(기자 + 쓰레기)와 유사한 의미로 사용되는 단어와 표현이 존재합니다. 이는 각국에서 저널리즘 윤리 부족, 가짜 뉴스 확산, 선정적 보도 등을 비판하는 데 활용됩니다. 아래에서 주요 표현과 그 의미를 설명하겠습니다.

     

    2. Hack Journalist ("핵 저널리스트")

     

    1) 의미

    • 'Hack'은 원래 글을 대충 쓰거나 창의성이 부족한 작가를 의미하는 단어입니다.
    • 'Hack Journalist'는 윤리적이지 않은, 돈을 위해 선정적인 기사만 작성하는 기자를 가리킵니다.
    • 뉴스의 품질을 낮추거나 과장된 보도를 하는 기자들을 비판할 때 사용됩니다.

     

    2) 사용 예시: "That newspaper is full of hack journalists who don’t fact-check their stories." (저 신문은 사실 확인도 하지 않는 핵 저널리스트들로 가득 차 있다.)

     

    3) 유명 사례: 2016년 미국 대선 당시, 일부 언론이 허위 사실을 유포하며 특정 후보를 일방적으로 지지하거나 공격하는 보도를 했을 때 "hack journalism"이라는 표현이 많이 쓰였습니다.


    3. Yellow Journalism ("옐로 저널리즘")

     

    1) 의미

    • 선정적이고 과장된 뉴스를 의미하며, 팩트보다는 감정을 자극하는 기사를 작성하는 저널리즘 스타일을 뜻합니다.
    • 19세기 말 미국에서 뉴욕 월드(New York World) 뉴욕 저널(New York Journal)이 독자 수 경쟁을 위해 과장된 보도를 했던 것에서 유래되었습니다.
    • 기레기와 유사한 맥락에서, 신뢰할 수 없는 저널리즘을 비판할 때 사용됩니다.

     

    2) 사용 예시: "The tabloid newspaper is known for its yellow journalism and fake stories." (그 타블로이드 신문은 옐로 저널리즘과 가짜 뉴스로 유명하다.)

     

    3) 유명 사례

    • 1898년 미국-스페인 전쟁 당시, 신문들이 거짓 정보를 퍼뜨리며 전쟁을 부추긴 사례가 대표적입니다.
    • 최근에도 연예인 가십 뉴스, 음모론을 다루는 일부 매체가 이런 형태를 띠고 있습니다.

     

    미국-스페인 전쟁의 단초인 파손된 메인호


    4. Fake News ("가짜 뉴스")

     

    1) 의미

    • 조작된 정보 또는 허위 사실을 기반으로 작성된 뉴스를 의미합니다.
    • 특히 정치적 목적을 가진 선전(propaganda)이나 조회수를 올리기 위한 조작 기사에 사용됩니다.
    • 트럼프 전 대통령이 임기 중 언론을 비판하며 자주 사용했던 표현입니다.

     

    2) 사용 예시: "That website spreads fake news to manipulate public opinion." (저 웹사이트는 여론을 조작하기 위해 가짜 뉴스를 퍼뜨린다.)

     

    3) 유명 사례

    • 2016년 미국 대선에서 페이스북과 트위터를 통해 가짜 뉴스가 퍼지면서 큰 논란이 되었습니다.
    • 일부 정치인이 불리한 기사를 "fake news"라고 공격하며 해당 표현이 더욱 널리 쓰이게 됨.
    출처: KBS뉴스

    5. Tabloid Journalism ("타블로이드 저널리즘")

     

    1) 의미

    • 타블로이드 신문(Tabloid) 스타일의 뉴스로, 과장되거나 선정적인 보도를 의미합니다.
    • 흔히 연예인 스캔들, 음모론, 괴상한 사건 등을 다룹니다.

     

    2) 사용 예시: "Tabloid journalism loves scandals and celebrity gossip." (타블로이드 저널리즘은 스캔들과 연예인 가십을 좋아한다.)

     

    🔹 유명 사례

    • 1997년 다이애나 왕세자비의 사망 당시, 파파라치와 타블로이드 언론의 과열 취재가 큰 논란이 되었습니다.
    • 영국의 The Sun, Daily Mail, The Mirror 등 일부 언론이 타블로이드 저널리즘으로 유명합니다.

    6. 마무리

     

    표현 의미 대표 사례
    기레기 왜곡 보도하는 기자 객관적인 보도가 아닌 특정 이해관계를 대변하는 보도
    Hack Journalist 윤리 부족한 기자 정치적 편향 보도
    Yellow Journalism 선정적, 과장 보도 1898년 미국-스페인 전쟁 조작 기사.
    메인호 폭발사건
    Fake News 허위 정보, 조작 뉴스 2016년 미국 대선 가짜 뉴스 논란
    Tabloid Journalism 가십, 음모론, 과장 뉴스 타블로이드 신문 연예 스캔들

     

    위 표현들은 '기레기'와 같은 맥락에서 편향적, 조작적, 선정적인 보도를 비판할 때 사용됩니다. 이는 한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저널리즘의 신뢰성 문제가 공통적인 논란거리임을 보여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