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2025년은 국민내일배움카드가 새로운 변화를 맞는 해입니다. 특히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훈련비 지원이 대폭 확대되면서, 더 많은 국민이 직업 능력을 키울 수 있는 기회를 누릴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번 블로그에서는 달라진 국민내일배움카드 혜택과 활용 방법을 정리해드립니다.
- 훈련비 추가 지원: 기존 300만 원 소진 시 200만 원 추가 지원.
- 가정 밖 청소년 지원 강화: 훈련비 자부담률 0~20%로 인하.
- 구직자 원격훈련 확대: 재직자 원격훈련 과정 일부 구직자도 수강 가능.
- 지원 대상 확대: 기간제, 일용직 등 취약계층 우선 지원.
- 훈련비 지원 한도: 5년간 300~500만 원 내에서 지원.
- 다양한 활용 가능: 직무 전환, 창업 준비, 자기계발에도 활용 가능.
- 신청 방법: 고용센터 방문 또는 고용24 누리집 통해 간편 신청.
- 구비 서류 필요: 신분증, 신청서, 동의서 및 입증 서류 제출 필수.

1. 취약계층 훈련비 지원 확대
그동안 계좌 한도 300만 원을 소진한 후 100만 원을 추가로 지원받았다면, 이제는 200만 원을 추가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고용상태가 불안정한 기간제·단시간·파견·일용근로자와 고용위기지역·특별고용지원업종 종사자들에게 더 많은 훈련 기회를 보장합니다.
- 기존에는 계좌 한도 300만 원 소진 후 100만 원을 추가 지원
- 2025년부터 200만 원을 추가로 지원
- 고용상태가 불안정한 근로자들에게 더 많은 훈련 기회를 제공
- 기간제·단시간·파견·일용근로자들에게 지원이 확대
- 고용위기지역 및 특별고용지원업종 종사자들도 혜택 받음
2. 가정 밖 청소년을 위한 지원 우대
가정 밖 청소년’은 가정 내 갈등, 학대, 방임, 또는 가정해체로 보호자를 떠나 사회적 보호가 필요한 청소년을 의미합니다.
이들을 위해 자부담률이 기존 15~55% → 0~20%로 낮아졌으며, 청소년복지시설 입·퇴소 확인서를 제출하면 추가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계좌 한도 300만 원 소진 후, 추가로 200만 원 지원이 가능합니다.
- 자부담률이 기존 15~55%에서 0~20%로 인하
- 청소년복지시설 입·퇴소 확인서 제출 시 추가 혜택 제공
- 계좌 한도 300만 원 소진 후 200만 원 추가 지원 가능
3. 구직자를 위한 원격훈련 과정 확대
기존에는 구직자가 실업자 원격훈련 과정만 수강할 수 있었지만, 이제는 일부 재직자 원격훈련 과정도 수강할 수 있도록 제한 규정이 완화되었습니다. 새롭게 추가된 훈련 과정은 22개 훈련기관, 597개 과정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훈련 기회가 제공될 예정입니다.
- 기존에는 구직자가 실업자 원격훈련 과정만 수강 가능
- 일부 재직자 원격훈련 과정도 수강할 수 있도록 제한 규정 완화
- 새롭게 추가된 훈련 과정은 22개 훈련기관, 597개 과정 포함
- 다양한 분야에서 훈련 기회 제공 예정

4. 국민내일배움카드의 주요 지원 내용
1) 지원 대상
- 국민 누구나 신청 가능
- 단, 공무원, 사립학교 교직원, 월 소득 300만 원 이상 대규모 기업 근로자 등 일부 제외
2) 지원 내용
- 5년간 300~500만 원 한도 내에서 고용노동부 인정 훈련과정을 수강
- 훈련비 일부 또는 전액 지원
3) 신청 방법
- 고용센터 방문 또는 고용24 누리집(온라인 신청)
- 신청 시 준비물: 신분증, 발급 신청서, 개인정보 수집·이용 동의서, 입증 서류 등
- 자세한 문의: 고용노동부 고객상담센터(☎1350)
5. 국민내일배움카드, 이렇게 활용하세요
국민내일배움카드는 단순히 취업을 준비하는 이들에게만 유용한 것이 아닙니다. 직무 전환, 창업 준비, 자기계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여러분의 가능성을 열어주는 도구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2025년, 한층 강화된 내일배움카드로 새로운 기회를 잡아보세요!
- 국민내일배움카드는 취업 준비에만 국한되지 않음
- 직무 전환, 창업 준비, 자기계발에도 활용

6. FAQ: 2025년 국민내일배움카드 변경 사항
Q1: 국민내일배움카드 훈련비가 얼마나 추가 지원되나요?
A: 기존에는 계좌 한도 300만 원을 모두 소진한 경우 100만 원을 추가 지원받았으나, 2025년부터는 200만 원을 추가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Q2: 가정 밖 청소년은 어떤 혜택을 받을 수 있나요?
A: 가정 밖 청소년은 훈련비 자부담률이 기존 15~55%에서 0~20%로 인하되며, 청소년복지시설 입·퇴소 확인서를 제출하면 우대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Q3: 구직자도 원격훈련 과정을 수강할 수 있나요?
A: 네, 구직자들도 2025년부터 일부 재직자 원격훈련 과정을 수강할 수 있도록 규정이 완화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22개 훈련기관의 597개 과정이 추가되었습니다.
Q4: 국민내일배움카드 지원 대상은 누구인가요?
A: 직업 능력 개발이 필요한 국민 대부분이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공무원, 사립학교 교직원, 만 75세 이상 어르신, 일정 조건을 충족하지 못한 대학생 등은 지원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Q5: 국민내일배움카드는 어떻게 신청하나요?
A: 가까운 고용센터를 방문하거나 고용24 누리집을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신청 시 신분증, 내일배움카드 발급 신청서, 개인정보 동의서 등을 제출해야 합니다.
Q6: 국민내일배움카드로 지원받을 수 있는 훈련비 한도는 얼마인가요?
A: 5년간 300~500만 원 한도 내에서 훈련비를 지원받을 수 있으며, 일부 또는 전액이 지원됩니다.
7. 마무리
이번 규정 개정은 고용상태가 불안정한 근로자와 가정 밖 청소년 등 취약계층에게 더 나은 직업훈련 기회를 제공합니다. 고용노동부의 노력으로 더 많은 이들이 안정적인 노동시장에 진입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